외부접속 설정(DDNS)


작성자 기술지원팀 날짜 2015-05-22 15:14:33 조회수 2,631

 

DDNS 생성

주의! DDNS 설정 시 네이버 메일은 인증메일이 전송되지 않으므로 다른 메일서버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아래 설명에 대한 이미지
 

DDNS텝에서 [추가]를 클릭합니다.


아래 설명에 대한 이미지

[서비스 제공업체]는 [Synology]를 선택한 후 [지금 등록]을 클릭합니다.


아래 설명에 대한 이미지

[Synology 계정을 생성하고 새 호스트 이름을 등록]을 선택 합니다.

- 호스트 이름 : 자신이 원하는 호스트 이름을 입력합니다 (예 : test 로 입력했다면 주소는 test.synology.me 로 됩니다.)

- 이메일 : 시놀로지 MyDS center에 계정을 등록합니다. 실제 사용하는 이메일을 적어 주셔야합니다. 인증 메일이 기입한 이메일로 발송됩니다. 이메일을 확인하여 인증 링크를 클릭하여야 정상 등록됩니다. 이 이메일은 추후 MyDS center에 로그인할 때 ID가 됩니다.

- 패스워드 : 시놀로지 MyDS center 에 로그인할 때 사용되는 패스워드입니다.

- Heartbeat : DDNS의 상태를 이메일로 알려줍니다. DDNS가 멈추거나 사용을 안해 지워지기전에 경고 메일을 발송합니다.

- 전체 이름 : MyDS center에 사용되는 닉네임입니다. 아무거나 기입해도 상관없습니다.

체크칸에 체크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아래 설명에 대한 이미지

위 안내창이 출력되면 확인을 클릭합니다. DDNS 등록 할때 기입한 이메일을 확인하여 인증 메일을 확인합니다.


아래 설명에 대한 이미지

현재 인증 메일의 인증 링크를 클릭하지 않아 상태창에 “이메일 주소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출력됩니다.자신이 기입한 이메일로 접속하여 이메일을 확인합니다.


아래 설명에 대한 이미지

메일함에 Synology MyDS center에서 보낸 이메일을 클릭합니다.


아래 설명에 대한 이미지

인증 메일 내용 중에 링크를 클릭합니다.


아래 설명에 대한 이미지

다시 DDNS 로 돌아와 [지금 업데이트]를 클릭하여 [상태]에 [정상]이 출력되면 DDNS등록은 끝납니다.

 

공유기 설정(포트포워딩/IPTIME 기준)

 


아래 설명에 대한 이미지

인터넷 브라우저에 공유기 IP주소를 적어 줍니다. 별도의 셋팅을 하지 않았다면 192.168.0.1이 공유기 주소입니다. 접속되었다면 [관리도구]를 클릭합니다.

 


아래 설명에 대한 이미지
 

[메뉴탐색기]에서 [고급 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을 클릭합니다.


아래 설명에 대한 이미지 

 

포트포워딩에 필요한 내용을 입력합니다.

- 규칙이름 : 아무 이름이나 적어주셔도 됩니다. 단 NAS가 여러대거나 다른 기기에서 포트포워딩 중이라면 구분 할 수 있는 이름이 좋습니다.

- 내부 IP주소 : 이 곳에 자신의 NAS IP주소를 입력합니다. (자신의 NAS IP는 Synology Assistant나 DSM 제어판 - 네트워스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외부 포트 : 외부에서 NAS를 찾아올 때 쓰는 포트입니다. 보안상 외부포트를 변경해 놓기도 합니다. DSM의 기본포트는 5000 이지만 사용자 임의로 외부포트를 5050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외부에서 DSM으로 접속할 때 주소는 XXX.synology.me:5050이 돼야 합니다.

- 내부 포트 : NAS의 실제 포트입니다. DSM 제어판에서 NSA의 포트를 변경하지 않았다면 DSM의 기본포트는 5000 WebDAV는 5005입니다. (WebDAV는 모바일 앱을 이용할 때 활성화 하여야 하기 때문에 열어줍니다. 모바일 앱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5005를 넣지 않아도 됩니다.)

모든 사항을 입력하였다면 [추가]를 누르고 우측 상단에 [설정 저장]을 클릭합니다.

 

DDNS 사용 시 참고사항

 

*자신의 DDNS주소를 인터넷 브라우저에 입력하여 접속이 되는지 확인합니다.

주소 형식은 http://XXX(자신이 만든 호스트 이름).synology.me:5000입니다.

- 뒤에 포트번호 :5000은 반드시 붙여주셔야합니다.

- 만약 포트번호 :5000을 붙이기 싫다면 외부 포트에 80번 내부포트에 5000번을 넣으시면 http://XXX.synology.me 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단 80번 포트가 다른 기기나 다른 프로그램에서 사용중이라면 충돌로 인해 접속이 안 될 수 있습니다.

! 만약 DDNS주소로 접속이 안된다면 다음의 경우를 살펴봐야합니다.

- 공유기에 루프백 기능이 없는 경우 : 루프백은 자기 자신에게 돌아오는 것을 말합니다. 이 기능이 없으면 생성한 DDNS주소로 못 돌아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른 외부PC(PC방이나 지인의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가 다른 컴퓨터, 스마트폰(3G나 LTE)로 접속을 해서 접속이 잘된다면 이 경우 일 수 있습니다.

- 주소에 포트번호를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 : 간혹 DDNS주소를 http://XXX.synology.me 까지만 입력하고 접속이 안 된다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http://XXX.synology.me:5000 처럼 포트번호까지 입력해주셔야 합니다.

- 통신사 회선에서 해당 포트가 차단 된 경우 : 이 경우엔 해당 통신사에 문의하셔서 원하는 포트를 개방해달라고 요청하셔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