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AS : Network Attached Storage의 약자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데이터저장장치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광대한 자료나 파일을 네트워크로 편하게 저장하는 장치
. DSM : DiskStation Manager의 약자로 리눅스 기반의 Synology NAS전용 운영체제입니다. DSM으로 NAS의 전반적인 기능을 설정/관리 할 수 있습니다
. DS : DiskStation의 약자로 Synology 제품 중 책상 등에 올려서 사용 할 수 있는 타워형 제품을 뜻함
. RS : RackStation의 약자로 Synology 제품 중 Server Rack에 들어가는 Rack형 제품을 뜻함
. j 시리즈 : Synology 제품군 중 보급형 제품을 뜻함
. Value 시리즈 : Synology 제품군 중 레퍼런스 제품을 뜻함
. Plus 시리즈 : Synology 제품군 중 고급형 제품을 뜻함
. XS+/XS 시리즈 : Synology 제품군 중 하이엔드 제품을 뜻함
. DX : Synology 제품군 중 DiskStation의 확장 장비를 뜻하며 Plus 제품이상에 확장을 할 수 있다
. RX : Synology 제품군 중 RackStation의 확장 장비를 뜻하며 XS+ 제품이상에 확장을 할 수 있다
. RP : 듀얼파워를 뜻함, RS2414RP+와 같이 제품 명 뒤에 RP가 붙는다면 듀얼파워를 가진 제품이다
. 시놀로지 제품명 숫자의 의미 : DS1513+의 숫자는 앞에 숫자 두 자리는 베이 수, 뒤에 두 자리는 출시 년도를 뜻함, 5베이인데 15인 이유는 확장을 하면 15베이 처럼 사용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HDD : Hard Disk Drive의 약자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하드디스크)
. Volume : 뜻 그대로 용량, 용적, 양 등을 의미하며 NAS에서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뜻함
. RAID :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의 약자로 여러 개의 HDD를 묶어서 데이터를 나눠서 저장하는 기술, 여러 개의 HDD를 하나로 묶어 하나의 논리적 디스크로 작동하게 하는데, 하드웨어적인 방법과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이 있습니다. 하드웨어적인 방법은 운영 체제에 이 디스크가 하나의 디스크처럼 보이게 한다.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은 주로 운영체제 안에서 구현되며, 사용자에게 디스크를 하나의 디스크처럼 보이게 함
. RAID0 : Striping 이라고도 하며 전체적인 성능향상을 위해 쓰이는 RAID방식, 데이터를 가로로 읽기/쓰기 하며 읽기/쓰기 성능은 HDD개수의 배수가 됩니다. 패리티가 없고 미러링도 되지 않아 하나의 HDD라도 고장 나면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구성 시 최소 HDD의 개수는 2개 이상
. RAID1 : Mirroring 이라고도 하며 데이터 보호가 중요할 때 쓰이는 RAID 방식입니다. 구성 시 최소 2개 이상의 HDD가 필요하며 몇 개의 HDD를 붙여도 용량은 항상 같기 때문에 공간효율은 다른 RAID의 비해 떨어집니다. 하지만 미러링한 모든 HDD에 데이터가 복제되기 때문에 어떤 HDD가 고장 나도 1개만 살아있으면 데이터 복구가 가능합니다. 동시에 읽기가 되기 때문에 읽기 속도는 HDD개수의 배수가 되고 쓰기 속도는 향상되지 않습니다
. RAID5 : 구성 시 최소 3개 이상의 HDD가 필요하고 한 개의 HDD가 Parity Disk가 됩니다. HDD 1개의 고장을 견딜 수 있으며 2개 이상 고장 시 데이터 손실이 발생합니다. RAID5를 구성하는 HDD는 용량이 같아야 하며 용량은 전체 HDD - parity HDD가 됩니다
. RAID6 : 구성 시 최소 4개 이상의 HDD가 필요하고 두 개의 HDD가 Parity Disk가 됩니다. HDD 2개의 고장을 견딜 수 있으며 3개 이상 고장 시 데이터 손실이 발생합니다. RAID6를 구성하는 HDD는 용량이 같아야 하며 용량은 저첸 HDD - parity HDD가 됩니다
. DDNS : Dynamic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실시간으로 DNS를 갱신하는 방식, 도메인 IP가 유동적인 경우 사용됩니다. NAS에서는 외우기 불편한 IP 대신 외우기 편한 내가 아는 주소로 NAS에 외부접속이 가능합니다. 단, Host Name은 원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도메인주소는 DDNS 서버에서 제공하는 (예 : xxx.synology.me) 주소를 사용해야합니다
. 포트포워딩 : LAN으로 수신된 통신 포트를 구분하여 각 호스트를 구분하고 포트를 변경하여 연결해준다
* 위 내용은 수정 및 추가 될 수 있습니다.